베개발

[섭디 노드] Blur vs Blur HQ 본문

3D/Substance Designer

[섭디 노드] Blur vs Blur HQ

rusal0204 2024. 9. 15. 04:33

Blur vs Blur HQ 노드 차이 정리 및 비교

 

 

차이가 꽤 많이 난다.

  블러 (Blur) 블러 HQ (Blur HQ)
비교움짤
노드 유형 Atomic 노드 (기본적인 노드) 라이브러리 노드
블러 알고리즘 박스 블러 가우시안 블러
품질 낮음 (특히 높은 강도에서) 높음 (더 자연스러움)
성능 빠름 상대적으로 느림
Intensity 범위 무제한 0-16.0으로 제한
입력 처리 단일 노드 컬러와 그레이스케일용 별도 노드
사용 사례 빠른 효과, 성능 중시 고품질 결과, 최종 렌더링

 


 

 

Blur (Atomic node - 기본 노드라는 의미)

  • 서브스턴스 디자이너의 기본 구성 요소 노드임.
  • 간단한 "박스 블러" 연산을 수행하여 일정 거리의 픽셀 값을 평균화함.
  • 정사각형 패턴으로 주변 픽셀을 샘플링하여 블러 효과를 만듦.
  • 계산 속도가 빠르지만 특히 높은 intensity 에서 품질이 낮은 결과를 생성함.
  • Intensity 에 제한이 없어 극단적인 블러 효과를 만들 수 있음
  • 매우 높은 강도 값에서는 전체 이미지가 평균 색상으로 변할 수 있음.
  • 빠르고 미묘한 블러 효과나 성능이 중요할 때 적합함.

 

Blur HQ (라이브러리 노드)

  • Atomic 노드를 사용하여 구축된 더 복잡한 노드임.
  • 포토샵 등과 비슷한 가우시안 블러를 수행함.
  • 가우시안 블러를 기반으로 한 블러 효과로 더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외관을 만듦.
  • 표준 블러 노드보다 훨씬 높은 품질의 결과를 생성하며, 특히 높은 강도에서 두드러짐.
  • 내부 샘플링 양을 미세 조정할 수 있는 "Quality" 매개변수(0-1)를 제공하여 계산 시간이 증가하는 대신 더 높은 품질을 얻을 수 있음.
  • Intensity 매개변수가 16.0으로 제한되어 더 제어된 결과를 제공함.
  • 컬러 입력용과 그레이스케일 입력용 두 가지 버전으로 제공되어 입력 유형에 따라 성능을 최적화함.

 

대부분은 그냥 Blur HQ를 쓰는 것 같다.

'3D > Substance Design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섭디 노드] Vector Morph & Vector Warp  (0) 2024.09.16
[섭디 노드] Ambient Occlusion RTAO vs HBAO  (0) 2024.09.15